예뻐도, 클릭은 안 되더라

주니어 디자이너 시절, 저는 디자인의 ‘완성도’에 집착했습니다.
레이아웃은 균형 잡혀야 하고, 컬러는 조화로워야 했죠.

그런데 어느 순간, 이런 질문이 들기 시작했습니다.
“잘 만든 디자인인데 왜 반응이 없을까?”

하지만 14년간 웹과 앱, 마케팅, 쇼핑몰, 브랜드 사이트 등
다양한 프로젝트를 거치며 확실히 알게 됐습니다.

예쁜 디자인과 성과를 내는 디자인은 다릅니다.

예쁜데 왜 반응은 없을까?

많은 클라이언트도 비슷한 고민을 합니다.
보기엔 그럴듯한데, 정작 행동은 일어나지 않는 디자인.
이 문제의 핵심은 ‘흐름과 구조’ 입니다.

클릭을 유도하지 못하는 디자인의 공통점은
사용자가 “어디를 봐야 할지, 무엇을 해야 할지” 명확하지 않다는 점입니다.

잘 팔리는 디자인에는 흐름이 있다

밀츠가 진행했던 한 리디자인 프로젝트에서는
색도, 폰트도 그대로였지만
버튼 위치와 강조 흐름을 바꿨더니 클릭률이 2.3배 증가했습니다.

시선을 유도하는 구조, 행동으로 이어지는 배치,
디자인은 결국 사용자의 흐름을 설계하는 일입니다.

‘예쁜데 반응이 없는’ 디자인은
사용자의 리듬을 놓친 디자인일 수 있습니다.

밀츠는 그래서 디자인 초반에 이런 질문을 던집니다.

흐름 중심의 설계가 필요합니다

밀츠는 페이지를 만들기 전에 사용자의 흐름을 먼저 설계합니다.

– 이 페이지는 어떤 니즈로 접근하게 될까?
– 첫 3초 안에 무엇을 보여줘야 할까?
– 어느 타이밍에서 클릭이 일어나야 할까?

이런 질문을 구조적으로 정리해야,
디자인이 단순한 장식이 아니라 결과를 이끄는 도구가 됩니다.

밀츠가 바라보는 디자인

디자인은 예술이 아니라, 행동을 설계하는 구조물입니다.
그래서 밀츠는 디자인을 ‘완성’보다는 ‘흐름’으로 접근합니다.

“예쁜데 아무도 클릭하지 않는 디자인”에서 “자연스럽게 행동이 일어나는 구조”로.

시각적인 아름다움 위에 전략과 리듬이 더해질 때,
그 디자인은 비로소 움직이기 시작합니다.